Kali Linux를 처음 설치하고 난 후 신나서 부팅을 시키면…
한글이 깨지죠…저게 무슨 글씨일까요…;;;
이 외에도 키보드 한영 변환 불편, 그러면서도 기본 디렉토리는 한글 등
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.
이번에는 사용하기 편하게 몇 가지 기본 설정을 소개하겠습니다.
(VMware 환경에서 RAM 3GB로 올렸더니 신세계…)
우선 과제
로그인부터 해야죠?
위 화면에서 처음에는 ID를 그 다음에는 Password를 입력합니다.
설치 과정에서 Root의 Password를 설정했기 때문에, root와 root의 Password를 입력하면 됩니다.
어느 시스템이던 간에 처음 부팅을 했으면 패치를 해주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.
# apt-get update
# apt-get upgrade
를 해주세요.
최우선 과제 한글 인식
한글 인식이 안 되는 이유는 글꼴이 없기 때문이라고 하네요. 나눔 글꼴을 설치하면 바로 해결됩니다. (><)
# apt-get install fonts-nanum*
는 없데요. 나참….
현재 등록된 레포지토리에 없어서 그러니 다른 레포지토리를 추가해야합니다.
# cd etc/apt/
# vi sources.list
deb http://security.kali.org/kali-security sana/updates main contrib non-free 밑에다가
deb http://http.kali.org/ sana main contrib non-free
deb-src http://http.kali.org/ sana main contrib non-free
deb-src http://security.kali.org/kali-security sana/updates main contrib non-free
추가시킨 후 저장. 종료.
주소부터 [주소][OS 배포 버전][패키지들의 위치 옵션?]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. 웹에서 주소로 들어가보면 그 구조가 쉽게 이해가 됩니다. 레포지토리를 수정했으면,
# apt-get update
# apt-get install fonts-nanum*
를 하시면 됩니다.
따란~
짜란~, 설치 완료와 동시에 하나 둘씩 한글로 바뀝니다.
vmtools 설치
Kali Linux를 설치하면서 USB가 Ext4 File System으로 포맷이 되기 때문에, 윈도우에서 Kali Linux의 파일들을 볼 수가 없습니다. 뭐 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겠지만, 저는 VMware에서 설치를 했기 때문에 vmtools만 설치하면 만사 Okay.
하지만…지저분한 걸 싫어해서 안 깔려고 했는데 포스팅해야 해서 설치를 하네요...
설치는 VMware 메뉴 -> VM -> Install VMware Tools 를 클릭합니다.
Kali Linux 아래에 똑 하고 나오는 데요. 열기를 클릭하세요.
그러면 여러 파일들이 나오는 데 tar.gz 파일의 압축을 해제해야 합니다.
저는 주로 바탕화면에 풀어요.
생성된 폴더로 들어가면 여러 파일들이 있는데 여기서
vmware-install.pl
을 실행하면 됩니다.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-> 터미널 열기 클릭
그 뒤로 어디에 설치할 것인지 여러 가지를 물어보는 데 저는 그냥 enter….
한글 입력기 설치
Kali는 Debian 계열의 리눅스이기 때문에 우분투나 데비안 계열에서 돌아가는 건 다 가능합니다. 한글 입력기 또한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저는
Byeoru
를 좋아합니다. 구글링 하다보면 벼루가 버그가 적다고 해서요.
난 싫어!!! 하시는 분은 다양하니깐 입맛에 맞게 설치하시면 됩니다.
# apt-get install uim uim-byeoru
다음 window 키 + a -> uim 입력 -> 입력기 실행
가장 먼저 디폴트 입력기 지정, 디폴트 입력기 -> 벼루
다음, 벼루 키 설정 1 -> 한글모드로, 영문모드로 편집: 여기서 한글 키 인식됩니다.
원하신다면 한자 및 기호도 마찬가지로 변환해주세요. 한자 키도 인식됩니다.
설정 후 적용하는 거 잊지 마세요.
Reboot 하시면 정상 작동합니다.
한글 디렉토리 영문으로 변경
홈 디렉토리에서 ls를 한번 쳐보세요.
설치를 한글로 했기 때문에 기본 디렉토리들이 한글로 잡혀있습니다. 하지만 작업을 하다보면 영어로 마아아아아아악 치는데 꼭 저기서 한글로 변경하면 답답하죠. 드라마나 영화 맹키로 두다다다다다 촥촥 속도가 생명인데
저 디렉토리 명에 대한 내용은
# ~/.config/user-dirs.dirs
에 저장되어 있습니다. 이 파일의 내용과 실제 디렉토리 명을 바꾸면 됩니다.
단축키 지정
윈도우의 윈도우 키 + D, E, F 등 우리의 컴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단축키를 설정하겠습니다.
위에서 벼루에서도 제공하지만 저는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입력기의 단축키를 바꿔서 사용합니다.
설정 -> 키보드 -> 바로가기
여기서 원하는 데로 수정하시면 됩니다.
몇 가지 Tip.
시스템:
명령어 실행 프롬프트 표시 | 여기서 입력하는 명령은 터미널에 입력하는 것과 동일 |
활동 요약 표시 | 현재 사용 중인 모든 창을 표시 |
모든 프로그램 표시 | 윈도우에서 윈도우 키 누른 것 |
실행 아이콘:
웹 브라우저 실행 | 해놓으면 편해요 |
내 폴더 | 윈도우 키 + E |
검색 | 위의 활동 요약 표시에서 창만 없어진 화면…위에서 검색하면 돼서 필요가 없습니다…. |
자판 입력:
소스로 전환은 벼루에서 했기 때문에 신경 쓰이면 지우는 게 좋아요.
창 조작:
창 전환 | Alt + Tab |
모든 일반 창 숨기기 | 윈도우 키 + D |
사용자 설정 바로가기:
추가 - 터미널 실행 | gnome-terminal |
끝
참고로 Kali의 웹 브라우저인 Iceweasel 은 Firefox입니다. 무슨 사연이 있던데 Firefox랑 똑같아요.
Kakao Talk를 쓰려고 Wine을 설치하고 했지만 Wine또한 가상머신을 이용하는 것 같았습니다. 제대로 작동도 안 되길래 vmware linux 버전을 깔고 윈도우를 깔아서 합니다. 하지만, 더 이상 unity는 지원을 안 한대요. 쓰시고 싶으신 분은 7 버전으로 설치해야 합니다.